Xftp, Xshell 설치
https://www.netsarang.com/ko/free-for-home-school/
무료 라이선스 - NetSarang Website
무료 라이선스 무료 사용자의 최고의 선택 ㈜넷사랑컴퓨터는 강력한 SSH와 SFTP/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지난 10년간 무료로 배포해온 것에 대해 자부심을 느낍니다. 저희 무료 라이선스는 단지
www.netsarang.com
위 링크에 접속해서 Xftp, Xshell을 모두 설치해줍니다.
< 설치하는 이유 >
Xftp: Local에 있는 파일을 배포한 서버에 간편하게 전송하기 위해
Xshell: 배포한 서버에 Key Pem을 사용하여 SSH 인증없이 원격 접속 후, 터미널을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탄력적 IP 주소 할당
+ VPC 설정은 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진행하겠습니다.
탄력적 IP 주소 할당을 클릭합니다.
바로 할당 버튼을 클릭합니다.
탄력적 IP 주소가 할당되었습니다.
인스턴스 생성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름을 작성합니다.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젝트를 위한 배포 ㅠㅠ)
리눅스 환경을 위해 Ubuntu 22버전을 사용합니다. (프리티어 사용 가능)
+ 22 버전이 오류가 없다는 소문이..
인스턴스 유형을 t2.micro으로 설정합니다. (프리티어 사용 가능)
클라우드 서버 컴퓨터로 무엇을 사용할 지 정해준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서버에 접속할 때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한 키를 설정해줍니다.
(없다면, 키 페어 생성)
네트워크 설정 편집 버튼을 클릭 후, 이전에 생성했던 VPC, 서브넷, 보안그룹을 연결합니다.
이제,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눌러 EC2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탄력적 IP 주소 연결
이전에 할당한 IPv4 주소에서 탄력적 IP 주소 연결 버튼을 클릭합니다.
위 과정에서 생성했던 인스턴스와 연결합니다.
Xshell 접속
Xshell을 실행 후, 이메일을 통해 로그인합니다.
새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이름에는 원하는 사용자 이름을, 호스트에는 접속할 서버의 IP 주소를 작성합니다.
사용자 인증 버튼을 눌러 다음 설정으로 넘어갑니다.
OS를 Ubuntu로 설정했기 때문에, 사용자 이름에 ubuntu를 작성합니다.
Password 선택을 해제하고, Public Key를 클릭 후,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전에 설정했던, 키 페어를 찾아서 설정합니다.
확인 버튼 클릭 후, 연결합니다.
수락 및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무사히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배포 전, 설정하기
사실 Xftp를 사용하는 대신, 배포할 Node.js 파일이 존재하는 Github Repository를 Clone 받습니다.
Clone 받은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sudo apt update 명령을 통해 Linux 배포판에서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최신 상태로 갱신합니다.
sudo apt install npm 명령을 통해 npm을 설치합니다.
npm init -y 명령을 통해 node.js 프로젝트를 초기화합니다.
npm i 명령을 통해 필요한 모듈을 설치합니다.
nohup node app.js & 명령을 통해 app.js파일을 실행시키고, 터미널이 종료되어도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합니다.
cat nohup.out 명령을 통해 파일 실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해당 IP와 포트를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http://3.34.120.85:8080)
+ https가 아닌 것과 포트번호를 명시해주어야 함에 주의합니다.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탄력적 IP 연결 & 서버 배포 (1) | 2024.07.16 |
---|---|
[AWS] EC2 설정 (0) | 2024.07.15 |
[AWS] EC2 (0) | 2024.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