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47) 썸네일형 리스트형 [Kotlin] 클래스 정의하기 + 항공대학교 김철기 교수님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과목 내용를 정리한 글입니다. 클래스 - 프로퍼티 (변수)와 메소드 (함수/연산)를 가지는 타입을 정의하는 단위 class Person { // 프로퍼티 var firstName: String = "" // 이름 var familyName: String = "" // 성 var age: Int = 0 // 나이 // 메소드 fun fullName() = "$firstName $familyName" // 이름 + 성 fun showMe() { println("${fullName()}: $age") } } 객체 (클래스의 인스턴스)의 생성 - Person 클래스 타입을 가지는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참조자를 가진다. // 인스턴스(객체)의 생성 fun ma.. [Kotlin] 예외 처리 + 항공대학교 김철기 교수님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과목 내용를 정리한 글입니다. 예외 던지기 - 함수의 비정상적인 상황 발생 시 throw 문을 통하여 예외를 던질 수 있다. (예외를 받지 않으면 비정상 종료) fun main() { val str = "10110110" println(parseIntNumberInBinary(str)) // 182 } // 2진수 문자열을 입력 받아 10진수로 변환 후 반환하는 함수 fun parseIntNumberInBinary(s: String): Int { var num = 0 if (s.length !in 1 .. 31) throw NumberFormatException("Not a Number: $s") // String s의 길이가 1 ~ 31 범위가 아니라.. [Kotlin] 루프 (반복문) + 항공대학교 김철기 교수님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과목 내용를 정리한 글입니다. do - while 문 1. do - while 사이의 루프 몸통을 실행한다. 2. while 키워드 다음에 있는 조건을 평가한다. 3. 참이면 1로 돌아가고, 거짓이면 루프문 다음 문장을 실행한다. fun main() { var sum = 0 // 0을 입력 받을 때까지 수들의 합을 반환 do { val num = readLine()!!.toInt() // var보다는 val을 지향할 것 sum += num } while (num != 0) println("Sum: $sum") } while 문 - 1 ~ 101까지 수 중 하나 맞추기 (Up Down 게임) import kotlin.random.Random fun mai.. [Kotlin] 조건문 + 항공대학교 김철기 교수님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과목 내용를 정리한 글입니다. if 문 - 조건문은 반드시 Boolean 타입이어야 한다. fun max(a: Int, b: Int): Int { if (a > b) return a // a가 b보다 크면 a를 반환 else return b // 그렇지 않으면 b를 반환 } /* fun max(a: Int, b: Int): Int = if (a > b) a else b */ fun main(args: Array) { // args는 String 배열 if (args.isNotEmpty()) { // args가 비어 있지 않다면 val message = "Hello, ${args[0]}" println(message) } else { println() }.. [Kotlin] 패키지: 패키지 개요 + 항공대학교 김철기 교수님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과목 내용를 정리한 글입니다. 패키지란 - 코틀린 프로그램을 계층화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다. => 기능과 목적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사용했던 이름을 재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존재한다. (다른 파일에 있기 때문) - 코틀린 코드를 담고 있는 디렉토리 구조와 일치한다. package foo.bar.util fun readInt(radix: Int) = readLine()!!.toInt(radix) // 디렉토리 구조상 foo/bar/util 디렉토리에 저장된다. // foo 패키지 내의 bar패키지 내의 util 패키지에 속하게 된다. - 현재 파일의 디렉토리 구조와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드래그 + alt + enter를 통해 구조를.. [Kotlin] 증가 감소 연산자 + 항공대학교 김철기 교수님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과목 내용를 정리한 글입니다. ++ : 항의 값에 1 증가 -- : 항의 값에 1 감소 fun main() { var a: Int = 10 var b: Int = 10 var res1 = ++a // a값 1 증가 후 대입 var res2 = b++ // b값 대입 후 1 증가 println(a) // 11 println(b) // 11 println(res1) // 11 println(res2) // 10 } ++a는 전위 증가 연산자로, a값을 먼저 1 증가시킨 후 res1에 a를 대입한다. b++는 후위 증가 연산자로, res2에 b값을 먼저 대입한 후 b를 1 증가시킨다. 이전 1 ···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