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08)
[Computer Architecture] 파이프라이닝 + 한국항공대학교 길현영 교수님의 컴퓨터구조론 과목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파이프라이닝 개요 세탁 시스템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or 소화기관) - 전체 세탁 흐름 = 하나의 프로그램 - 전체 세탁하는데 걸리는 시간 = 프로그램 실행 시간 -> 성능 - 세탁물 1개 = 명령어 1개 하나의 일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각각 다를 경우 기다리는 시간이 발생한다. 위 그림에서 (기본) 세탁물 수가 4개일 경우, 병행 방식은 순차 방식에 비해 약 1.7배 빠르다. - (90 × 4) ÷ (90 +40 × 3) = 1.7 - 40 × 3: 첫 세탁을 제외하고, 두 번째부터 가장 길게 걸리는 마지막 일만큼 기다려야하기 때문에 40분이 지날 때마다 세탁 하나가 완료된다. 세탁물 수가 10개일 경우, 병행..
[Unity] 오브젝트 이동 입력 입력 행동에는 Down, Up, Stay 세 가지가 있다. 1. Down (누른 순간) 변화: 누르지 않은 상태 -> 누른 상태 2. Up (누르고 떼는 순간) 변화: 누른 상태 -> 누르지 않은 상태 3. Stay (누르고 있는 상태 유지)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NewBehaviourScript1 : MonoBehaviour { void Update() { // 아무 키를 통해 입력 (키보드 or 마우스) if (Input.anyKeyDown) Debug.Log("플레이어가 아무 키를 눌렀습니다."); if (Input.an..
[백준/Python] 9184번: 신나는 함수 실행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9184 9184번: 신나는 함수 실행 입력은 세 정수 a, b, c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입력의 마지막은 -1 -1 -1로 나타내며, 세 정수가 모두 -1인 경우는 입력의 마지막을 제외하면 없다. www.acmicpc.net 문제 요약 if a 20, then w(a, b, c) returns: w(20, 20, 20) if a < b and b < c, then w(a, b, c) returns: w(a, b, c-1) + w(a, b-1, c-1) - w(a, b-1, c) otherwise it returns: w(a-1, b, c) + w(a-1, b-1, c) + w(a-1, b, c-1) - w(a-1, ..
[Unity] 게임 오브젝트의 흐름 유니티에서 게임 오브젝트의 흐름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 게임 오브젝트가 생성 or 활성화 1. Awake() - 게임 오브젝트가 생성될 때 (스크립트가 로드될 때) 1회 실행된다. - 주로 변수 초기화 or 다른 오브젝트와의 연결 설정할 때 사용된다. 2. OnEnable() - 게임 오브젝트가 활성화 되었을 때 1회 실행된다. ex) 로그인 3. Start() - 업데이트 시작 전 1회 실행된다. (다른 스크립트의 Awake 종료 시 호출) - 주로 초기 설정이나 리소스 로딩 등에 사용된다. 1. Update() - 매 프레임마다 실행된다. - 주로 게임 로직, 입력 처리, 에니메이션 업데이트 등에 사용된다. 2. LateUpdate() - 매 프레임마다 Update..
[백준/Python] 2470번: 두 용액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470 2470번: 두 용액 첫째 줄에는 전체 용액의 수 N이 입력된다. N은 2 이상 100,000 이하이다. 둘째 줄에는 용액의 특성값을 나타내는 N개의 정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이 수들은 모두 -1,000,000,000 이상 1,000,00 www.acmicpc.net 문제 요약 N개의 용액 특성 값들을 입력 받고, 이 중 두 개의 서로 다른 용액을 혼합하여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을 만들어내는 두 용액을 출력한다. 용액의 특성값의 범위는 -1000000000 ~ 1000000000이다. 코드 n = int(input()) arr = sorted(list(map(int, input().split()))) left =..
[백준/Python] 1644번: 소수의 연속합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644 1644번: 소수의 연속합첫째 줄에 자연수 N이 주어진다. (1 ≤ N ≤ 4,000,000)www.acmicpc.net문제 요약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연속된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한다. ex) 3 = 3 => 한 가지 41 = 2 + 3 + 5 + 7 + 11 + 13 = 11 + 13 + 17 = 41 => 세 가지코드import math n = int(input()) # 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소수로 구성된 리스트 구하기 pri_arr = [True for _ in range(n + 1)] # n 까지 소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리스트 (초기: 소수 = True) for i in range(2, 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