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 (39) 썸네일형 리스트형 [Embedded Software] SPI Communication 실습 + 한국항공대학교 최차봉 교수님의 임베디드 SW 과목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SPI를 이용하여 Master / Slave를 제작하라. 2명이 한 조가 되어 Master 1대, Slave 1대로 실습한다. Serial Monitor에서 명령을 받아 Slave로 전송한다.- 't' 명령을 입력 받아 Slave에 전송한다.- 동시에 Slave에서 한 Time 이전의 데이터를 입력 받고 Serial Monitor에 출력한다. Master에서 't'명령을 받으면 현재 Counter 값을 Master에 전송한다.- 매 초마다 1씩 증가하는 Counter를 유지한다.- ISR (Interrupt Service Routine)을 .. [Embedded Software] SPI Communication + 한국항공대학교 최차봉 교수님의 임베디드 SW 과목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Asynchronous Communication Limitation (UART) 클럭 대신 start bit, stop bit을 사용한다. 1. Problems when two systems with slightly different clocks = 두 시스템간의 싱크가 맞지 않아 클럭이 다를 수 있다. 2. A lot of Overhead on Every Byte = 8 bit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2 bit가 더 들어가기 때문에 효율이 80%밖에 되지 않는다. 3. Complex Hardware required = 클럭 대신 데이터를 갖고 싱크를 맞춰야하기 때문에 하드웨어가 복잡해진다. 4. If the receiver is.. [Computer Architecture] 데이터 표현 + 한국항공대학교 길현영 교수님의 컴퓨터구조론 과목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데이터 종류 수치 데이터 => 컴퓨터 내/외부에서 사용 비수치 데이터 => 컴퓨터 외부에서 사용 데이터 형식 컴퓨터가 지원하는 데이터의 표현 방식이다. (약속) = 컴퓨터가 제공하는 명령어 집합으로 연산할 수 있는 정보의 표현 (피연산자 뿐 아니라 opcode 역시 포함된다.) ex) atomic: 정수(Integer), 불리언(Boolean), 문자(Character), 실수(부동 소수점 수 형태) complex type: 문자열(String), 배열(Array), 벡터(Vector), 스택(Stack), 큐(Queue) 그러나 모든 컴퓨터(하드웨어)가 모든 데이터 형식을 지원하지 않는다. - 모든 데이터 형식을 지원하면 하드.. [Computer Architecture] picoMIPS 명령어 집합 구조 + 한국항공대학교 길현영 교수님의 컴퓨터구조론 과목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picoMIPS MIPS Technologies에서 만든 명령어 집합이다. (교육용) RISC 기반 아키텍쳐로 명령어 형식이 단순하고, 고정 길이 명령어를 사용한다. - 명령어 길이: 16bit (OpCode 4bit, Operand 12bit) 8개의 범용 레지스터를 사용한다. - 3 bit로 레지스터 주소를 표현한다. - 레지스터 데이터는 16bit로 구성되어있다. 3가지 명령어 형식만 존재한다. - 기본적으로 3-주소 명령어 형식을 사용한다. 명령어 형식 opcode fn 의미 and $rd $rs $rt R 0000 000 $rd [Embedded Software] UART Communications 실습 + 한국항공대학교 최차봉 교수님의 임베디드 SW 과목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UART를 이용하여 Server / Client를 제작하라. 3명이 한 조가 되어, Server 1대, Client 2대(id로 구분)로 실습한다. '#' + + ( 3 Byte ASCII) - : Client id이다. '0' 또는 '1'이다. - : LED Blink 횟수이다. '0'~'9'이다. Client에서 받은 Data 정보에 따라 LED를 Blink한다. - Client0에서 Data를 받을 경우, Pin12에 연결된 LED를 점등한다. - Client1에서 Data를 받을 경우, Pin13에 연결.. [Embedded Software] Serial Communications + 한국항공대학교 최차봉 교수님의 임베디드 SW 과목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Communication Protocols 1. Parallel Communication Protocol (병렬 통신) - Multiple Bits at a time: 여러 비트를 동시에 전송한다. - Fast, Easy to implement: 구현이 쉽고 빠르다. - Requires more wires: 많은 라인이 필요하다. => 없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2. Serial Communication Protocol (직렬 통신) - Single Bit at a time: 비르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 Slow, Difficult to use: 사용이 어렵고, 느리다. - In general, 4 wires: 일반적..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