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08)
[Computer Architecture] 컴퓨터의 발전 (종류) + 한국항공대학교 길현영 교수님의 컴퓨터구조론 과목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1. 개인용 컴퓨터 (Personal Computer) 소형, 저가이며, 10여 전의 대형 메인 프레임 컴퓨터의 성능을 능가한다. General Purposed Machine: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적인 컴퓨터이다. 2. 임베디드 컴퓨터 기계 장치나 전자 장치들의 내부에 포함되어, 그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control)하는 컴퓨터이다. Embedded Computer: 내장 컴퓨터라고도 하고, 그 안의 SW를 펌웨어라고도 한다. ex) (스마트) 가전제품, 컴퓨터 주변기기, 이동전화기, 비디오 게임기 등 8비트 초소형 부터 32비트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1. 최소의 비용으로 필요한 만큼의 성능..
[Python/백준] 5639번: 이진 검색 트리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5639 5639번: 이진 검색 트리 트리를 전위 순회한 결과가 주어진다. 노드에 들어있는 키의 값은 106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다. 모든 값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지며, 노드의 수는 10,000개 이하이다. 같은 키를 가지는 노드는 없다 www.acmicpc.net 문제 요약 이진 검색 트리를 전위 순회(루트-왼쪽-오른쪽)한 결과가 주어졌을 때, 그 트리를 후위 순회(왼쪽-오른쪽-루트)한 결과를 출력한다. 이진 검색 트리란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이진 트리이다. 조건 1. 노드의 왼쪽 서브트리에 있는 모든 노드의 key는 노드의 key보다 작다. 조건 2. 노드의 오른쪽 서브트리에 있는 모든 노드의 key는 노드의 key보다 크다. 조건 ..
[Python/백준] 1991번: 트리 순회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91 1991번: 트리 순회 첫째 줄에는 이진 트리의 노드의 개수 N(1 ≤ N ≤ 26)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각 노드와 그의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가 주어진다. 노드의 이름은 A부터 차례대로 알파 www.acmicpc.net 문제 요약 이진 트리를 입력 받고, 전위 순회, 중위 순회, 후위 순회한 결과를 출력한다. + 노드의 이름은 A부터 차례대로 알파벳 대문자로 매겨지며, 항상 A가 루트 노드가 된다. + 자식 노드가 없는 경우에는 .으로 표현한다. 코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ef preorder(root): # 전위 순회 if root != '.': ..
[Embedded Software] Linux Commands 실습 + 한국항공대학교 최차봉 교수님의 임베디드 SW 과목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vi test 를 실행하여 임의의 문서를 작성하라. vi test ZZ 로 저장하고 끝내야 하는데 ctrl + z를 잘못 눌렀다. 이때 입력한 모든 내용을 복구하고 정상적으로 종료하기 위해 해야할 작업은 무엇인가? 사용된 명령과 용어에 대해 설명하라. bg 를 통해 Backgrouud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와 job번호를 확인한다. bg fg %[job번호] 를 통해 job번호에 해당하는 프로세스를 Frontground로 옮긴다. fg %1 Esc를 누르고 ZZ로 저장하고 종료한다. free 명령을 실행하여 RAM과 S..
[백준/Python] 2503번: 숫자 야구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503 문제 요약 영수가 생각한 1부터 9까지 서로 다른 숫자 세 개로 구성된 세 자리 수를 N번 물어본다. 물어본 수와 스트라이크와 볼 개수를 입력한다. 영수가 생각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답의 총 개수를 출력한다. 코드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N = int(input()) data = ['1', '2', '3', '4', '5', '6', '7', '8', '9'] arr = list(permutations(data, 3)) # arr은 1 ~ 9까지 숫자로 만들 수 있는 모든 세 자리 수들의 배열 (9P3) for _ in range(N): n, s, b = map(int, input().spli..
[Embedded Software] Linux Basic Commands + 한국항공대학교 최차봉 교수님의 임베디드 SW 과목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시스템 관리 명령 whoami : 사용자의 이름을 표시한다. who : 현재 로그인 사용자를 표시한다. 리눅스는 Multiuser System이기 때문에 여러 사용자가 함께 사용 가능하다. uname : 시스템 정보를 표시한다. -a : 모든 시스템 정보 -r : 커널 Release -n : 호스트 명 -m : 머신 타입 -p : Processor 타입 -s : OS의 시스템 타입 -v : 커널 버전 정보 man [명령어] : 명령어의 사용법을 출력한다. free :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한다. (기본단위: KB) -h : GB, MB, KB 형태로 변경하여 출력 (-h는 보통 보기 좋게 출력하는 옵션) -s [second] :..